• 최종편집 2023-09-26(화)

NEWS ON AIR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버르토크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연주,
뉴스 09-26 10:19
이철우 도지사, 추석 명절 앞두고 민생 氣살리기 행보
뉴스 09-25 16:05
추석 귀성객 맞이, 대구 도시브랜드 알리기에 힘쓴다!
뉴스 09-22 18:16
정부 탄소중립 정책 선도적 추진
뉴스 09-21 11:57
SK행복나눔재단 Sunny 출신 기업 MFM, 2025년 방글라데시 매출 15억원 목표
뉴스 09-20 16:54
대구광역시가 옳았다! 지역상권, 시민 모두 大만족
뉴스 09-19 10:48

동영상뉴스더보기

포토뉴스더보기

핫채널

사회더보기 +

  • 안오명 09-25 14:50

    PICO, Real VR Fishing 미국 동부 DLC 신규 출시 및 Complete Edition 업데이트

      PICO, Real VR Fishing 미국 동부 DLC 신규 출시 및 Complete Edition 업데이트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독자적인 혁신 기술과 연구 개발 능력을 갖춘 글로벌 VR 선도 기업 PICO가 ‘Real VR Fishing Complete Edition’ 업데이트 및 미국 동부 DLC를 신규 출시했다. 이번 신규 DLC는 세번째로 공개되는 ‘Real VR Fishing’의 DLC로, 25일 처음 글로벌 공개된다. Real VR Fishing 미국 동부 DLC에서는 총 15곳의 신규 낚시 포인트와 총 56종의 신규 물고기를 만나볼 수 있다. 신규 DLC가 추가됨에 따라 Real VR Fishing은 Complete Edition 업데이트가 이뤄지며, 유저들은 4개의 신규 테마와 9가지의 새로운 낚시 시나리오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미국 서부, 일본에 이어 출시되는 미국 동부 해안의 DLC에서는 잔잔한 리버티 섬부터 브루클린 브리지까지 다양한 미국 동부의 장소에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PICO 국내 스토어 총괄 성주현 매니저는 “PICO 유저들이 사랑하는 Real VR Fishing의 신규 DLC 공개 및 Complete Edition 업데이트를 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PICO는 앞으로도 풍성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PICO는 추석을 맞아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네이버와 쿠팡에서 구매시 15%의 할인 혜택 및 게임 3종을 증정 받을 수 있다. 또한 9월 25일부터 10월 1일까지 PICO 스토어에서 50여개가 넘는 타이틀을 50% 할인한다. 할인 대상 타이틀에는 △올인원 스포츠 VR △후루츠 닌자 △레드매터 △데메오 △에스파이어 2가 포함돼 있다. 피코 소개 피코(PICO)는 2015년 3월 설립된 선구적인 글로벌 VR 기업이다. PICO는 VR 관련 독자적인 혁신 기술과 연구 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VR 올인원 기술에 집중하고 있으며, 유럽,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한국 시장에서 글로벌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다. PICO의 미션은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고, 세상을 새롭게 연결하며, 사용자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으로, 일상의 경험을 재창조하는 선구적인 XR(확장현실)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크리에이터와 기업들에게 영감을 주고, 일상의 경험을 재창조하는 선구적인 XR 플랫폼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웹사이트: https://www.picoxr.com/kr
    안오명 09-22 17:23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메딜런스, 업무협약 체결…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메딜런스, 업무협약 체결…  AI 기반 보호대상자 심리건강 케어 협력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이사장 최운식, 이하 보호공단)은 지난 21일 보호대상자 및 가족의 건강증진을 위해 사단법인 더블에프코리아 산하 메딜런스(대표 김수열)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메딜런스는 10여년에 걸친 수천명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아·청소년부터 노인 및 국내 프로 운동선수들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운동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수년간 쌓은 노하우와 과학적인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통합 헬스케어 플랫폼 앱 ‘메딜런스’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보호대상자는 메딜런스의 온/오프라인 통합 플랫폼과 AI 학습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몸과 마음 건강에 대한 케어를 제공받게 된다. 메딜런스는 보호공단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보유하고 있는 플랫폼 내에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대사회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보호대상자도 예외는 아니다. 이에 메딜런스는 재범 방지를 위해 심리적인 치유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보유 플랫폼과 AI를 활용해 어떠한 심리적 문제라도 근본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화상 심리상담 프로그램과 교육 및 재활 프로그램을 진행해 보호대상자들의 정신적인 건강을 향상시키며 안정적인 사회 복귀를 촉진할 예정이다. 또한 사용자의 몸 상태 관련 데이터를 철저히 관리하고 맞춤형 운동 솔루션과 식단, 온라인 교육을 제공해 보호대상자들이 근본적인 치유를 통해 풍요로운 미래의 삶을 기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최운식 보호공단 이사장은 “디지털 헬스케어와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현대사회에서 메딜런스의 AI 기술을 활용해 보호대상자 개개인이 몸과 마음 건강을 토탈 케어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메딜런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보호대상자 사회복귀를 위해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수열 메딜런스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보호대상자의 안정적인 사회 정착은 물론, 가족 등 주변인들 또한 안정된 생활을 이어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보호공단은 메딜런스와 협의해 보호대상자의 심리안정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소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은 교정기관 출소자, 보호처분자를 대상으로 숙식 제공부터 직업훈련, 취업 지원, 주거 지원과 사회성 향상 교육은 물론 출소자 가정의 회복과 치유, 자녀들의 학습 멘토링, 서비스별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출소자들의 사회복귀와 관련된 법무보호복지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reha.or.kr
  • 문화더보기 +

  • 안오명 09-25 14:58

    공진원, 추석맞이 전시체험행사 ‘시시때때 세시풍속’ 개최

      공진원, 추석맞이 전시체험행사 ‘시시때때 세시풍속’ 개최 9.30.(토)~10.1(일)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내 야외 놀이마당에서 열려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이 주관하는 추석맞이 전시체험행사 ‘시시때때 세시풍속’이 오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주말 양일간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내 야외 놀이마당에서 개최된다. ‘시시때때 세시풍속’ 전시체험행사는 공진원에서 추진하는 ‘세시풍속 맥잇기’ 사업의 하나로, 잊혀가는 세시풍속을 재발견하고 일상에서 다시 즐길 수 있게 하고자 개최된다. 주요 프로그램으로 책 ‘매일매일 세시풍속’(고성배 펴냄, 닷텍스트)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 전시와 세시풍속 관련 체험행사가 진행된다. 전시는 대한민국 각지의 세시풍속을 사계절의 절기마다 체험할 수 있는 24개의 세시풍속을 다루며, 그림을 활용해 우리가 모르던 세시풍속에 진행되는 놀이, 음식, 의례 등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구성했다. 체험행사는 양주소놀이굿보존회와 함께 소 모양을 가장해 놀이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풍년을 부르는 소 놀이, 공예가 최석봉 장인이 알려주는 △풍년을 엮는 짚풀공예 체험, 세시풍속에 대한 지식을 퀴즈로 풀어보는 △세시 왕 선발대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추석빔을 입고 사진을 남길 수 있는 △시시때때 포토존, 추석에 경험한 세시풍속 추억을 적어보는 △시시때때 추억남기기 등 참여 이벤트도 함께 준비됐다. 올해 상반기에는 단오를 주제로 행사가 진행됐으며, 하반기에는 추석을 주제로 진행된다. 상반기에는 6월 단오를 주제로 고양어린이박물관과 협력해 ‘시시때때 세시풍속’행사를 진행했다. 어린이 단체 및 가족 관람객을 포함해 다양한 관람객이 참여하며 행사 기간인 총 6일간 1345명이 행사를 방문하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하반기 세시풍속 행사는 공진원에서 조성한 ‘우리놀이터-서울’[1]이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 협업을 통해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시시때때 세시풍속’전시체험행사 외에도 국립민속박물관의 다채로운 추석 행사도 함께 즐길 수 있다. 공진원 전통생활문화본부 김태완 본부장은 “추석을 맞아 소놀이, 짚풀공예체험, 세시왕 선발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많은 관람객들이 체험할 수 있게 구성했다”며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세시풍속인 추석과 관련된 전통문화 체험행사를 통해 더 많은 이들이 일상의 전통생활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일부 프로그램은 현장 접수를 통해 체험할 수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누리집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우리놀이터: 전통놀이 현대화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전용 문화공간. △경기도 고양시 고양어린이박물관 △경기도 양주시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경기도 파주시 국립민속박물관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서울시 국립민속박물관 △전주시 우리놀이터 마루달 등 전국 총 6곳에 위치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소개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공예와 공공디자인, 전통생활문화의 진흥을 위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창의적인 공예문화, 디자인문화, 전통생활문화의 확산과 진흥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쟁력을 강화해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누리집: http://www.kcdf.or.kr 웹사이트: http://www.kcdf.kr
    안오명 09-22 17:37

    에픽리그 ‘다크쓰론: 더퀸라이즈’ 글로벌 출시 1주년 기념 이벤트 진행

      에픽리그 ‘다크쓰론: 더퀸라이즈’ 글로벌 출시 1주년 기념 이벤트 진행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에픽리그는 핵 앤드 슬래시 액션 롤 플레잉 게임(RPG) ‘다크쓰론: 더퀸라이즈’(이하 다크쓰론)의 글로벌 출시 1주년을 기념하는 이벤트와 업데이트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다크쓰론은 지난해 9월 28일 출시된 ‘핵 앤 슬래시’ 스타일의 정통 액션 RPG다. 계속해서 성장하는 악마들, 에픽 장비들, 플레이어들 간 대전 결투 등 다채로운 게임 디자인으로 구성돼 있으며, 멀티 플랫폼 게임 플레이를 지원한다. 앱스토어(iOS) 4.4/5, 구글플레이 4.1/5 등 높은 평점을 기록하며 아시아를 넘어 북미 및 유럽에서도 이용자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글로벌 출시 1주년을 맞이하는 다크쓰론은 이용자들의 꾸준한 성원에 보답하고자 신규 영웅 캐릭터 ‘강령술사(Necromancer)’를 추가한다. 신규 영웅 캐릭터 강령술사는 적에게 주문을 걸거나 쇠약해지는 디버프를 가하고, 완전 무장한 소규모 스켈레톤 군대를 소환하는 것이 특징이다. 신규 영웅 캐릭터 추가와 함께 9월 27일부터 10월 4일까지 △1주년 출석 체크 이벤트 △크리스탈 리그 보상 2배 이벤트 △던전 아이템 2배 드롭 이벤트 △럭키 찬스 아이템 무료 사용 △디스코드 커뮤니티 이벤트 등 다양한 이벤트로 풍성한 보상 획득이 가능하다. 김성재 다크쓰론 총괄PD는 “다크쓰론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개발된 게임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1주년을 함께 맞이해준 유저분들께 감사드리며, 호응에 보답하고자 다양한 아이템 획득이 가능한 이벤트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에픽리그는 넥스트 제너레이션(Next generation) 게임을 만드는 게임 스튜디오로, 차기작 ‘트와일라잇 판타지(Twilight Fantasy)’를 내년 초 출시할 계획이다. 에픽리그 소개 에픽리그는 플레이어와 커뮤니티를 위해 존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생태계다. 에픽리그 생태계의 주축은 바로 허브와 게임이다. 에픽리그 허브는 플레이어들이 게임파이는 물론 통합된 게임플레이를 완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NFT 마켓플레이스와 길드 지원 툴, 트레저리 및 스테이킹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허브의 길드 지원 툴은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로 길드 관리자와 플레이어가 에픽리그의 자율 길드 시스템을 사용해 NFT 임대, 수익성, 플레이어의 활동 수치 등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웹사이트: https://www.epicleague.io/ 사진
  • 투데이 HOT 이슈

    대구광역시, 추석 연휴 결식 우려 아동 급식지원
        대구광역시, 추석 연휴 결식 우려 아동 급식지원 ▸ 추석 명절 결식우려 아동 급식지원 대책 마련 ▸ 연휴 기간 내 대구광역시 아동급식 플랫폼 통해 비대면 주문결제 가능   (국내매일) 안나리 기자 = 대구광역시는 추석 명절 연휴 기간(9.28.~10.3.) 동안 지역 내 결식우려 아동 16,509명에 대해 원활한 급식 제공을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대구광역시는 추석 연휴 기간 지역아동센터 등 단체급식소 휴무로 인한 결식아동의 급식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급식카드 또는 식품권 사전 교부, 연휴 기간 전 부식 사전 제공, 급식 제공이 가능한 주민이나 민간단체를 파악해 결식우려 아동과 사전연계 조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위생관리 안내 등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지난 6월 오픈한 대구시 취약계층 비대면 아동급식지원 플랫폼은 결식아동들의 비대면 급식지원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시스템으로 대구시 공공배달앱 ‘대구로’를 통해 추석 연휴 기간에도 비대면 주문 결제가 가능하며 배달팁은 대구로에서 사회공헌기금으로 지원한다.   아동급식지원 플랫폼은 9월 현재 누적 주문 건수가 35,000건이 넘어섰으며, 행정안전부 주관 제40회 지역정보화 연구과제 발표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참고] 연휴기간 아동급식관련 정보제공처 구 분 문 의 처 명절 생활정보 안내 120 달구벌콜센터 아동급식 가맹점 안내 및 잔액조회 아동급식 홈페이지 ‘아동급식정보마당’kidsmeal.daegu.go.kr 급식 관련 문의 사항 시 및 구군 당직실

    포토슬라이드
    1 / 2

    경제 더보기

    크리에이터스, 새 이름 ‘그라폴리오 마켓’으로 리브랜딩

    크리에이터스, 새 이름 ‘그라폴리오 마켓’으로 리브랜딩 ‘그라폴리오 마켓(GRAFOLIO MARKET)’ 9월 25일 리브랜딩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크리에이터스(XREATORS)가 서비스명을 ‘그라폴리오 마켓(GRAFOLIO MARKET)’으로 변경하고 9월 25일 새로운 서비스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크리에이터스는 크리에이터와 팬을 연결해 저작권 콘텐츠를 판매하는 글로벌 NFT 마켓플레이스다. 이곳은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돼 미디어 콘텐츠와 아트웍스 등 다양한 저작권 콘텐츠를 NFT로 제작, 판매하고 팬들과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올 1월 정식 론칭 이후 자체 발행한 암호화폐 ‘ORT 토큰’을 활용해 NFT 파킹 서비스를 출시하고, 다양한 분야의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마켓을 확장해 나갔다. 크리에이터스는 소셜크리에이터 플랫폼 오지큐(OGQ, 대표 신철호)와 계약해 브랜드 사용 권한, 공동 운영 권한, 크리에이터 작품 콘텐츠 사용 권한을 획득하고 리브랜딩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됐다. 2021년 오지큐는 크리에이터스와 디지털 저작권 콘텐츠 공급 및 글로벌 유통과 저작권 인증서 발급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오지큐는 기존 네이버에서 제공되던 그라폴리오 서비스를 양도받아 창작자들을 위한 새로운 기능,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을 위해 노력해왔다. 그라폴리오 마켓은 올해 7월 31일 기준으로 약 11만명의 크리에이터, 1300만명의 회원 그리고 170만개의 작품 및 크리에이터들이 활약하는 거래 플랫폼이다. 오지큐 또한 191여개국 1700만명의 크리에이터와 28억건의 콘텐츠 다운로드 실적을 보유한 거대 콘텐츠 플랫폼으로 일반 창작자가 직접 만든 이미지, 동영상, 폰트, 스티커, 음원 등을 거래할 수 있다. 최근에는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3D 콘텐츠도 사고팔 수 있는 저작권 검증 프로세스도 갖췄다. 그라폴리오 마켓은 리브랜딩 이후 크립토 유저는 물론 국내에서 기존 그라폴리오를 통해 창작 활동을 한 크리에이터들에게 NFT 창작 기회까지 지원하고자 한다. 크리에이터의 팬, 일반 유저들도 자연스럽게 NFT를 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 생태계를 마련하면서 누구나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다. 앞으로 그라폴리오 마켓은 기존 이더리움 기반 마켓플레이스에서 폴리곤 체인을 도입해 진정한 ‘멀티체인 NFT 마켓플레이스’로 구축하고자 한다. 실제 올해 하반기에는 폴리곤 NFT를 직접 등록하고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도 추가할 예정이다. 박지나 그라폴리오 마켓 대표는 “크리에이터스가 리브랜딩을 하면서 사용자에게 우리 서비스 비전과 방향성을 좀 더 명확하게 전달할 것”이라며 “NFT를 잘 모르는 크리에이터들이 더 쉽고 편리하게 마켓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크리에이터스 코리아 소개 크리에이터스(XREATORS)는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크리에이터가 겪는 지식 재산권 침해와 불공정한 수익 분배 등 여러 불합리함을 해결하고, 디지털 세상에서 대체 불가능한 크리에이터로서 자신의 권리와 수익을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설립됐다. 크리에이터의 권리와 이익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XREATORS의 방향성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자체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구체화되며 이를 통해 XREATORS는 유망한 크리에이터가 정당한 대우를 받는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소유하고 싶은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모이는 유통 구조를 만들어 간다. 이런 선순환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크리에이터의 주권이 지켜지고, 창작물이 올바르고 공정하게 거래되는 건강한 생태계를 구축한다. 그라폴리오마켓: http://market.grafolio.com 웹사이트: https://www.xreators.com

    중소기업 K-가업승계 바우처 사업 공고… 최대 2000만원 지원

      중소기업 K-가업승계 바우처 사업 공고… 최대 2000만원 지원 한국가업승계협회 가업승계 분야 맞춤형 전략컨설팅, 코칭 멘토링, 지식재산권 & 인증 컨설팅 지원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한국가업승계협회(김봉수 회장)는 원활한 가업승계로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이 지속가능한 천년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2023년 K-가업승계 바우처 사업’을 오는 27일 공고한다고 25일 밝혔다. ‘2023년 K-가업승계 바우처 사업’은 가업승계에 애로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특성별 맞춤형 가업승계 전략컨설팅으로 ‘소상공인은 100년 가업’으로, ‘중소기업은 천년강소기업’으로 성장하도록 ‘가업승계 전략컨설팅, 가업승계 코칭 및 멘토링, 지식재산권 컨설팅’ 분야의 서비스를 바우처 방식으로 지원한다. K-가업승계 바우처는 최근 3개년 평균 매출액이 1500억원 이하인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에 최대 2000만원 한도 내에서 컨설팅 서비스를 바우처 방식으로 제공한다. 수행기관인 한국가업승계진흥원에서 가업승계지도사와 전문위원이 수행하게 된다. K-가업승계 바우처는 △가업승계 전략컨설팅 △지식재산권 및 각종 인증 컨설팅 △가업승계 관련 코칭 및 멘토링 등 3개 프로그램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업승계 전략컨설팅’은 가족계획, 승계전략, 재무·조세전략, 지배구조, 법인전환, 법인(특정)설립, 증·감자, 분할 합병, 은퇴설계, 지속가능 경영전략, 가업승계지원제도 등을 융복합해 기업 맞춤형 전략컨설팅을 제공한다. ‘지식재산권 및 각종 인증 컨설팅’은 지식재산권 획득 및 활용(특허 출원, 상표 출원, 실용신안 출원, 디자인 출원, 저작권 등록) 등 기업부설 연구소 설립과 각종 인증을 지원한다. ‘가업승계 관련 코칭, 멘토링’은 후계자에게 소유권 책임 역할 등을 명쾌하게 해주고, 코칭과 멘토링으로 기업을 경영할 능력과 인격을 갖춘 경영자로 역량을 강화한다. ‘K-가업승계 바우처 사업’은 9월 27일부터 한국가업승계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될 계획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가업승계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신청 방법은 ①홈페이지 MEMBERSHIP 메뉴에서 회원가입 후 ②공지사항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해 작성하고 ③가업승계 컨설팅 안내→컨설팅 상담 신청 메뉴에서 작성 후 ④이메일로 신청서 및 관련 자료를 제출하면 된다. 아울러 사업과 관련된 세부적인 문의 사항은 한국가업승계협회 또는 한국가업승계진흥원을 이용하면 된다. 김봉수 한국가업승계협회장은 “2023년 K-가업승계 바우처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원활한 가업승계를 지원하겠다”며 “가업승계 애로사항을 반영해 가업승계에 직면한 중소기업의 경영자와 후계자가 필요로 하는 문제해결형 가업승계 컨설팅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봉수 회장은 “양질의 가업승계 컨설팅과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가업승계지도사 자격검정 시험을 2023년 12월 9일 실시할 예정”이라며 “이에 대비해 한국가업승계진흥원에서는 가업승계지도사 양성 교육과정을 11월 13일(월) 개설해 가업승계 전문가 양성에 적극적으로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가업승계협회 소개 한국가업승계협회는 중소·중견기업들이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아름다운 바통 터치의 가업승계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중소기업의 건전한 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의 인적·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승계해 천년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가업승계협회는 성장단계별 문제해결 컨설팅 방법론(승계전략, 재무·조세전략, 지배구조, 후계자 육성)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에 차별화된 가업승계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가업승계지도사 양성을 통해 올바른 가업승계 컨설팅 저변을 확대해 성공적인 가업승계의 내비게이션이 되고자 한다. 웹사이트: http://www.fbsa.or.kr/

    채용 소식 발표

      커리어넷, 주택도시보증공사·농협정보시스템·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화학연구원·한국산업기술진흥원·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채용 소식 발표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커리어넷이 주택도시보증공사, 농협정보시스템,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의 채용 소식을 발표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2023년도 하반기 정규직 채용을 진행한다. 채용 분야는 신입직(관리직), 경력직(관리직), 경영지원직(무기계약직)이다. 채용 인원은 총 85명이다. 자세한 지원 자격 및 우대 사항 등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형 절차는 △원서접수 △서류전형 △필기전형 △필기전형 합격 검증대상자 통지 △증빙서류 제출 및 필기전형 합격자 통지 △사전 온라인 검사(온라인 AI면접 및 온라인 인적성 검사) △1차 면접전형 △2차 면접전형 △신원조사를 거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원서는 10월 4일(수) 13시까지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농협정보시스템에서 2023년도 신규직원 채용을 진행한다. 채용 분야는 IT 분야로 채용 인원은 총 00명이다. 자세한 지원 자격 및 우대 사항 등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형 절차는 서류전형 및 온라인 인적성(Lv1) 평가, 필기전형(코딩테스트/인적성(Lv2) 및 직무능력/전산능력 평가), 면접전형 및 신체검사를 거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원서는 10월 5일(목) 18시까지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서 2023년도 제3차 직원 채용을 진행한다. 채용 분야는 정규직에서 △행정직(6급갑) △전산직(6급갑, 6급을), 공무직 기관운영사업에서 △행정전문요원(다등급) △행정사무원 △전산전문요원-일반(초급, O/P), 공무직 수탁사업에서 △행정전문요원(다등급) △전산전문요원-일반(중급, 초급) △전산전문요원-보안(중급), 기간제 기관운영사업에서 △전산전문요원-일반(초급), 기간제 수탁사업에서 △행정전문요원(나등급) △행정전문요원(다등급) △전산전문요원-일반(중급) △전산전문요원-일반(초급) △전산전문요원(보안), 기간제 육아휴직대체 수탁사업에서 △행정전문요원(나등급)으로 채용 인원은 총 35명이다. 자세한 지원 자격 및 우대 사항 등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형 절차는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원서는 22일 18시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한국화학연구원에서 2023년 정직원(경영행정분야) 채용을 진행한다. 채용 분야는 일반행정, 기계설비관리·행정으로 채용 인원은 총 2명이다. 자세한 지원 자격 및 우대 사항 등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형절차는 일반행정에서 서류심사, 필기시험, 종합면접을 거쳐, 기계설비관리·행정에서 서류심사, 전공면접, 종합면접을 거쳐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원서는 10월 4일(수) 12시까지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2023년 체험형 인턴(청년,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공개채용을 진행한다. 채용 분야는 사업관리며, 채용 인원은 총 13명이다. 자세한 지원 자격 및 우대 사항 등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형 절차는 서류전형, 면접전형 및 인성검사 를 거쳐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원서는 10월 5일(목) 10시까지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2023년도 하반기 정규직 직원 채용을 진행한다. 채용 분야는 연구직, 행정직으로 채용 인원은 총 26명이다. 자세한 지원 자격 및 우대 사항 등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형절차는 서류심사, 필기시험, 전공면접, 종합면접을 거쳐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원서는 10월 6일(금) 18시까지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커리어넷 소개 ‘기업과 인재를 연결하는 교두보, HR 리쿠르팅 산업의 핵심 주자’ 커리어넷은 2003년 11월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사내 벤처를 시작으로 개인회원 수 410만명, 기업회원 43만개사를 보유하며 취업 포털 업계의 선두주자로 입지를 굳히고 있다. 현재 커리어, 히든 챔피언, 중견 강소기업 등 국내 최대의 멀티 포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The Network와 제휴해 영역을 해외로 넓혀 해외 채용 서비스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온·오프라인 간 시너지 창출에 초점을 두고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온라인 사업부문은 질적 향상과 고객 만족 극대화를 위해 꾸준히 사이트 개편을 진행하고 있으며, 채용 정보를 기본으로 다양하고 차별화된 취업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장기적인 전략으로 삼고 있다. 오프라인 부문의 경우 채용 대행 솔루션, 대학 취업 지원 사업, 채용 박람회 운영, 정부 및 각 시군 지방자치단체 취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취업 관련 토털 HR 서비스를 제공하며 업계 수위 실적을 내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areer.co.kr

    정치 더보기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 최종결과 11월 22일 발표

    사진: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 이치수 조직위원장(현 세계언론협회(WPA) 회장 겸 전국언론단체총연합회(NFPO) 회장, 인신협 회장)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 최종결과 11월 22일 발표 AEC, 의정평가라는 형식 빌려 상이나 주는 평가가 아닌  국회의원 의정평가에 특화된 ‘WF국회의정혁신지수(WFAPII)’ 적용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대상 시상식 2023년 11월 22일(09:00~12:00) 개최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300인 의정평가 대국민보고회 및 포럼  ‘4차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은 무엇인가’ 진행 평가자료 제출기한 10월 10일까지 연장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WFPL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원회(위원장 이치수, 현 세계언론협회(WPA) 회장 겸 전국언론단체총연합회(NFPO) 회장, 대한인터넷신문협회(인신협) 회장)가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의 최종결과를 발표한다. 세계청년리더총연맹(총재 이산하, WORLD FEDERATION OF POWER LEADERS, WFPL, 이하 세계총연맹) 부설 국회의원 의정평가전문 기구인 WFPL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이하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는 전국 253개(현 기준) 지역구 지역민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300인 의정평가 최종 결과를 11월 22일(09:00~12:00)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공식 발표한다고 밝혔다. ◇ 평가자료 제출기한 연장 : 2023년 10월 10일까지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는 그동안 여러 경로를 통해 꾸준히 제기돼왔던 평가자료 제출 기한 문제를 적극 수용해 기존 9월 30일에서 10월 10일로 제출 기한을 10일 연장한다. ◇ 국회의원 의정평가 중간평가 결과 11월 초순 발표 제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 중간평가 결과 발표는 평가자료 제출기한이 연장되는 관계로 10월 말에서 11월 초순으로 순연되며, 평가점수는 개별 통보된다. 특히 중간평가 결과, 50점 이상을 받은 국회의원은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300인 의정평가 최종결과 대국민보고회 및 시상식’에 참석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 국회의원 의정평가 대상 및 기간 : 2020.5.30 ~ 2023.8.31. 심사 규정에 의하면 평가대상 기간은 국회의원 임기 시작일로부터 다음 국회의원 선거 직전년도 중·후반까지며, 국회의원 의정평가의 평가 횟수는 국회의원 임기 4년 중 1회 실시를 원칙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의 평가대상 기간은 2020년 5월 30일부터 2023년 8월 31일 까지다.(기타 자세한 내용은 세계총연맹 부설 국제정책연구원(IPI)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 참조) ◇ 평가자료 제출 서류 및 접수처 평가자료 제출 서류는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大賞’ 후보등록 신청서 △국회의원 의정평가 제출자료(I) △국회의원 의정평가 제출자료(II) 등을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 전용 메일로 10월 10일까지 보내면 된다. ◇ 후원금 등 일체 받지 않음 제21대 국회의원 개별 의정평가에 대한 심사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엄격히 담보하기 위해 찬조금, 심사비 등 후원금은 일체 받지 않는다. ◇ WFPL 국회의원 의정평가 ‘정치적 중립’ 세계총연맹 부설 국회의원 의정평가 전문기구인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CE)’는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정치적 중립을 견지한다. ◇ 국회의원 의정평가 취지 및 목적 노동환경 악화로 청년 세대들이 직장을 구하는데 어려움이 커지면서 삶이 안정되지 않아 결혼을 기피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인구 유출에 따른 심각한 지방소멸 문제, 고착화되는 사회적 빈곤 문제, 소수만이 누리는 잘못된 ‘공정’ 및 특권층의 모럴해저드(Moral Hazard) 등을 포함해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제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대한민국의 현재, 그리고 미래를 위해 준비해 나가야 할 많은 과제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전국 지역구에서 선출된 국회의원의 의정활동과 도덕성을 포함한 혁신 능력을 공정하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민들에게 알릴 전문적인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WFPL 국회의원 의정평가’의 목적은 지자체의 자립 기반 확대 및 국가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헌신한 국회의원 300인의 의정 활동을 공정하고 객관적인 의정평가 전문지수 ‘WF국회의정혁신지수(WFAPII, WF ASSEMBLY POLITICS INNOVATION INDEX)’를 통해서 산출해 그 결과를 전국 253개 지역구의 해당 지역민들에게 명확히 알리는 데 있다. ◇ WFPL 국회의원 의정평가 방법 · 국회의원 의정평가 역사상 최초로 독자 개발된 평가지수 ‘WF국회의정혁신지수(WFAPII)’ 적용 국회의원 의정평가 방법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의정평가 역사상 최초로 독자 개발된 평가지수 ‘WF국회의정혁신지수(WFAPII)’가 적용된다. ‘WF국회의정혁신지수(WFAPII)’는 세계총연맹 부설 연구기관인 국제정책연구원(IPI), 국제ESG평가원(IESGEI), 통일정책연구원(KPINU)과 언론기관인 세계언론협회 등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특화된 국회의원 의정혁신전문 평가지수(VALUATION INDEX)로, 7대 부문과 하위 15개 항목 및 140개 세부지표를 통해 국회의원의 전문성과 도덕성을 포함한 혁신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국회의원 의정평가 7대 부문 국회의원 의정평가 7대 부문은 다음과 같다. △4차산업혁명시대 경쟁력 강화 등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 법안(지자체 경쟁력 강화 및 자립기반 강화 등을 위한 법안 포함) △국민의 질적인 삶과 밀접한 혁신 민생 법안 △각 분야의 혁신 관련 법안 발의 현황 △기타 정량·정성평가 △공익평가 △기타 통과되지 못한(폐기된) 법안(국민과 국가를 위해 매우 필요한 법안임에도 각 정당의 이해관계 등 제반 여건 미비로 통과되지 못한 법안) △국회의원 대국민 성실도(선거 공약 이행 현황 포함) ◇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大賞’ 수상자 선정 발표 ·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300인 의정평가 최종결과 대국민보고회 및 시상식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大賞 수상자는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300인 의정평가 대국민보고회 및 시상식’ 참가 자격이 주어진 국회의원 가운데 평가 결과 60점 이상인 국회의원 중에서 최종 선정한다.(단 대리참석 불가) 제21대 국회의원 300인(현 298인) 전체에 대한 의정평가 평가 결과에 따라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大賞’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大賞(대상) : 국회의원 의정평가 최종 평가 결과 80점 이상을 받은 최고 평점자에게는 ‘大賞’이 수여된다. - 특별상 : 국회의원 의정평가 최종 평가 결과 75점 이상 80점 이하를 받은 창의력 우수 평점자에게는 ‘특별상’이 수여된다. - 최우수상 : 국회의원 의정평가 최종 평가 결과 60점 이상 75점 이하를 받은 최우수 평점자에게는 ‘최우수상’이 수여된다. ◇ 국회의원 평가 결과 점수 공개 범위: 평점 60점 이상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는 그동안 논란이 돼왔던 국회의원 의정평가 점수 공개 범위와 관련해 전국 253개 지역구 지역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전국 300여 연합단체인 전국지자체혁신시민연대(CSLGI, 지자체혁신연대)의 조사결과를 반영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국회의원 의정평가 점수 공개 범위는 기존 평가점수 50점 이하(또는 60점 이하)에서 평가점수 60점 이상인 국회의원에 한해 공개될 예정이다.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 이치수 조직위원장은 “전국 253개 지역구 지역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전국 300여 연합단체인 전국지자체혁신시민연대(CSLGI, 지자체혁신연대)의 요청을 받아들여 2회째를 맞이한 제2회 WFPL 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부터는 평점 60점 이상인 국회의원에 한하여 개별 평가 점수를 공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국 253개 지역구의 지역민들은 자신들의 지역구에서 선출된 국회의원이 그동안 지역과 국가를 위해서 어떤 일들을 해왔는지 상세히 알고 싶어한다”면서 “특히 국회의원 의정평가란 형식을 빌려 상이나 주는 명분 찾기용 평가가 아닌 실질적으로 국회의원 의정평가에 특화된 전문적인 국회의원 평가지수를 통해 산출된 공정하고 객관적인 사실들을 명확히 알고 싶어한다”고 밝혔다. 이치수 조직위원장은 “국민 누구나 치솟는 물가와 고금리 등으로 고통 받는 어려운 시국에 국회의원이 해야 할 일은 자신을 믿고 선출해 준 지역민들에게 평가를 통해서 드러난 그동안의 의정활동을 성실히 알리고, 또한 남은 임기 동안 지역과 국가 발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은 물론 민생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 강철승 전략기획부장은 “이치수 조직위원장은 각종 프로젝트 등의 기획 입안 및 평가분석 전문가로서 창의적이고 탁월한 기획력, 온화한 카리스마와 강력한 추진력을 겸비한 전략가”라며 “특히 부정과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진정성 있는 언론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 포럼 ‘4차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날 행사에서는 ‘4차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은 무엇인가(What are the ways to strengthen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라는 주제의 포럼이 진행된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이번 포럼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의제(AGENDA, 어젠다)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해결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다룬다. 본 포럼의 좌장은 세계총연맹 이치수 상임고문 겸 제21대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 위원장(현 세계언론협회(WPA) 회장 겸 전국언론단체총연합회(NFPO) 회장, 인신협 회장)이 맡게 된다. 이 행사는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AEC), 대한민국 국회(이개호 국회의원), 세계언론협회(WPA, WORLD PRESS ASSOCIATION), 국제정책연구원(IPI) 등이 공동 주최 및 주관한다. 후원에는 세계청년리더총연맹(WFPL), 전국언론단체총연합회(NFPO), 대한인터넷신문협회(인신협), 한국입법기자협회, 세계연맹기자단(WPC), 전국 NGO모니터단, 전국 300여 연합단체 전국지자체혁신시민연대(CSLGI, 지자체혁신연대), 세계학교폭력추방본부(SVEH), 전국243개 전국지자체혁신평가자문단, 전국 400여 연합단체 기회공정범국민실천연대(FOPAH, 기회공정실천연대) 등 언론기관 및 단체들이 함께한다. 세계청년리더총연맹 소개 세계청년리더총연맹은 2007년 1월 11일 설립된 ‘국제청소년연구원(옛 국제청소년연구소, 초대 대표 이산하)’을 모태로 한 정치적 중립기구로, 부설 언론기관인 세계언론협회(WPA, WORLD PRESS ASSOCIATION)와 전국 17개 광역시·도 지부연맹 및 세계 각 국가의 지부연맹을 통해 열정을 가진 청년인재들과 함께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일어나는 위기상황을 해결해 나가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세계 각국 간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사회적 약자가 소외받지 않고, 참여와 소통의 문화가 확산돼 ‘더불어 함께하는 세상’을 열어가는데 가치를 두고 있다. 세계청년리더총연맹은 본 연맹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하고자 부설 언론기관과 연구기관, 세계연맹장학재단(설립 준비 중) 및 특별기구 등을 두고 있다. 부설 언론기관은 세계언론협회(WPA, WORLD PRESS ASSOCIATION)와 세계연맹기자단(WPC, WORLD PRESS CORPS) 및 세계연맹유튜버기자단(WYPC, WORLD YOUTUBE PRESS CORPS), 부설 연구기관은 국제청소년연구원, 세계여성연구원, 국제정책연구원, 세계경제정책연구원, 세계보건연구원, 세계과학기술연구원, 국제ESG평가원, 국제소비자평가원(ICEI), 세계환경연구원, 통일정책연구원 등 9개 기구를 두고 있다. 기타 특별기구에는 세계학교폭력추방본부(SVEH), 국회의원 의정평가 조직위원회(AEC), 전국 300여 연합단체 전국지자체혁신시민연대(지자체혁신연대)(CSLGI, Citizens’ Solidarity for Local Government Innovation), 전국언론단체총연합회(NFPO), 전국243개지자체혁신평가자문단, 전국 400여 연합단체 기회공정범국민실천연대(FOPAH), 전국 WFPL NGO모니터단, 특정세력권력사유화방지 범국민운동본부(PMHAPP, People’s Movement Headquarters Against Privatization of Power, 권력사유화방지국민본부)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wfple.org

    국회의원회관에서 ‘경상북도 수도권 기업 투자유치 설명회’ 개최

      한도 없는 인센티브로 기업투자 최적지‘경북도 주목’ 국회의원회관에서 ‘경상북도 수도권 기업 투자유치 설명회’ 개최  특화단지(포항, 구미), 국가산단(경주, 안동, 울진), 방산혁신클러스터(구미) 청사진 제시   투자유치 유망기업 발굴을 위한 투자 보조금 인센티브 적극 홍보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경북도는 지난 20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수도권 기업 CEO 등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상북도 수도권 기업 투자유치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는 2023년 윤석열 정부에서 선정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포항-이차전지, 구미-반도체) △신규 국가산단(경주-SMR, 안동-바이오생명, 울진-원자력수소) △방산혁신클러스터(구미)와 상한액 제한 없는 투자 보조금 등 인센티브 안내로 지방 이전 희망 기업들의 경북 투자에 관한 관심을 끌어내는 계기를 마련했다.   경북도는 2030년 개항하는 신공항으로 재편되는 투자환경과 경북의 국가 주력 첨단산업들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특히, 기업투자 활성화 전략으로 최근 제정된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에 근거한 전국 최저수준 전기요금과 국회발의 중인 지방투자촉진 특별법안을 활용한 기회발전특구 특례 제도는 참석 기업인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어서 경북 기업투자 우수사례에서 구미 소재 기업인 아주스틸 관계자가 기업인의 눈높이에서 경북에 투자한 이유와 지원받은 과정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주스틸 관계자는 “2011년부터 이어진 네 번의 투자는 기업을 위한 경북의 저렴한 투자부지 제공과 신속한 행정절차 처리가 있어 가능했다”라고 강조하고, “투자 전 과정에서 기업 친화적인 협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경북에 투자하는 것을 적극 추천한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시군별로 △포항 이차전지 양극재산업 특화단지 △경주 SMR 국가산단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산단 △구미 반도체 핵심소재·부품 특화단지, 방산혁신클러스터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개발 계획과 투자 인센티브를 소개하고 입주 희망 기업과 상담하는 시간을 가졌다.   기업 관계자들의 산업단지 입주와 보조금 수혜 가능 여부 등 다양한 질문이 쏟아져 예정된 시간을 훌쩍 넘기는 호응을 얻었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설명회 참석 기업에 “경북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기업 친화적 탈규제와 투자 기반 조성 노력의 최대 수혜지로서 이전 기업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전국 최고의 투자 인프라 제공과 지원을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린 첨단산업의 중심지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경북도는 민선8기 출범 이후 올 8월까지 15조 원이 넘는 투자유치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국내외 이차전지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 앵커기업 대규모 유치가 견인한 결과다. 산업 흐름을 분석하고 미래 유망산업과 해외기업 투자유치에 집중한 경북의 전략이 주요했음을 실적으로 입증했다.

    PBN방송 더보기

    직능연 ‘성인 진로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진로교육 수요 분석’ 발표

    직능연 ‘성인 진로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진로교육 수요 분석’ 발표 성인 진로…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진로교육이 중요해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성인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진로관리’를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26일 ‘KRIVET Issue Brief 266호(성인 진로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진로교육 수요 분석)’를 통해 성인 진로교육의 수요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이 연구는 2022년에 수행한 ‘성인 진로교육 수요 분석 및 정책 수립 방안 연구(2022)’에서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266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성인 진로교육 내용 관련 상대적 중요도(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진로 재설계 및 진로 변화에 대응하는 영역인 ‘진로관리’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성인 진로교육 주요 5개 영역의 중요도는 ‘진로관리’ > ‘진로탐색’ >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개발’ > ‘진로디자인과 준비’ > ‘일과 직업세계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들은 진로교육을 받고자 하는 시설로서 ‘고용훈련시설(고용센터 등)’과 더불어 ‘교육전문기관(대학 등)’ 또한 선호하고 있었다. 성인 진로교육 주요 전달체계의 상대적 중요도는 ‘고용훈련시설(고용센터 등)’ > ‘교육전문기관(대학 등)’ > ‘평생교육시설(학습관 등)’ > ‘온라인 학습’ > ‘지방정부시설(주민센터 등)’ 순으로 확인됐다. 진로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별 중요도와 시급도를 분석한 결과, ‘나의 진로적성과 장단점 파악하기’, ‘나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진로 발굴하기’, ‘미래 사회 변화(디지털 전환 등) 대응하기’ 등이 최우선 과제로 꼽혔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들의 진로역량을 변화하는 직업환경에 맞게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분석을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문찬주 부연구위원은 “성인 진로교육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인 성인들의 실제적인 특성과 요구를 파악해 그에 적합한 진로교육 정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우선적으로는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진로 기초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이후 다양한 측면에서 진로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소개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rivet.re.kr

    ASUS TUF M3 GEN II 게이밍 마우스 1:1 증정 이벤트

    에이수스, ROG STRIX B760-G GAMING WIFI 구매하면  게이밍 마우스 증정 이벤트 진행 ASUS TUF M3 GEN II 게이밍 마우스 1:1 증정 이벤트 12+1 파워 스테이지, 8+4핀 ProCool 전원 커넥터,  합금 초크 커패시터, 6 레이어 PCB로 견고한 전원부 설계 충분한 넓이와 두께의 VRM 히트싱크, NVMe SSD를 최적의 온도로 유지해주는 M.2 히트싱크 장작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글로벌 컴퓨팅 전문 기업 ASUS의 한국 지사인 에이수스 코리아(지사장: 강인석, 이하 에이수스)는 ROG STRIX B760-G GAMING WIFI를 구매하면 게이밍 마우스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는  2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하며, 해당 이벤트 페이지가 등록된 PC 쇼핑몰에서 인텍앤컴퍼니가 유통하는 ASUS ROG STRIX B760-G GAMING WIFI를 구매하면 ASUS TUF M3 GEN II 게이밍 마우스를 사은품으로 1:1 증정한다. 사은품은 제품에 동봉돼 발송된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이벤트 페이지가 등록된 각 쇼핑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행사 제품인 ASUS ROG STRIX B760-G GAMING WIFI는 M-ATX의 컴팩트한 크기의 소형 시스템을 위한 게이밍 메인보드로 Intel B760 칩셋과 LGA 1700 소켓을 탑재해 12세대 및 13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를 활용할 수 있다. 코어 수가 많은 인텔 코어 프로세서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12+1 파워 스테이지, 8+4핀 ProCool 전원 커넥터, 합금 초크 커패시터, 6 레이어 PCB가 적용된 설계로 안정적인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DDR5 메모리를 지원하며, ASUS의 독점적인 메모리 오버클러킹 플랫폼인 AEMP II를 지원해 메모리 오버클러킹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AIO 펌프 팬 헤더, CPU 팬 헤더로 다양한 쿨러와 연결할 수 있으며, 4핀 팬 헤더는 PWM 또는 DC 팬의 자동 감지를 지원한다. 또한 VRM 히트싱크는 Intel 13세대 프로세서의 전력을 처리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와 두께를 제공하며, M.2 히트싱크로 NVMe SSD를 최적의 온도로 유지해 일관된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래픽카드 및 확장 카드용 PCIe 5.0 x16 슬롯과 PCIe 4.0 x16 슬롯 및 3개의 PCIe 4.0 M.2 슬롯을 제공한다. Intel 2.5Gb 이더넷 포트로 유선 연결을 강화해 파일 전송 속도를 높이고 지연 없이 부드러운 게임과 고해상도 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한다. 또한 WiFi 6E 안테나가 내장돼 무선 환경에서 초고속 처리량과 더 나은 성능을 위해 최대 7개의 160MHz 채널을 제공한다. 유저의 편의성을 위해 PCIe 슬롯 Q-Release, M.2 Q Latch, BIOS Flashback, Q-LED 기능을 제공해 손쉬운 GPU, SSD 설치와 간단한 BIOS 재설정 및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양방향 AI 노이즈 캔슬링, Sonic Studio III, GameFirst VI, AI Sutie 3 등을 지원해 게이밍 환경에 최적화돼 있다. 제품과 관련한 사후 지원 및 가격 문의는 에이수스 국내 공식 유통사인 인텍앤컴퍼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에이수스 소개 에이수스(ASUS)는 미국 포천지에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가운데 하나로 오늘날 IT 환경에 적합한 혁신적인 제품과 미래의 스마트 라이프를 지향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에이수스는 PC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모니터,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한 토털 IT 솔루션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으며 가상 현실(VR)과 증강 현실(AR) 그리고 사물 인터넷(IoT)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 2023년 창립 33주년을 맞은 에이수스는 세계적으로 1만6000여명의 임직원과 5000여명의 월드클래스 연구 개발(R&D) 인력이 함께 혁신적이고 완벽한 품질의 제품을 만들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4511개의 미디어 어워드와 130억달러의 매출을 일궈냈다. 웹사이트: https://asus.com

    대국민 온·오프라인 행사 개최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홍보 위한  대국민 온·오프라인 행사 개최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한국영양학회(회장 한성림)는 지난 18일 서울 신사동 애시드하우스에서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인 ‘202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수립(1년차)연구’의 홍보 사업 일환으로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서 학회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식품구성자전거를 홍보하기 위해 다양한 홍보물과 원데이 클래스를 제공했다. 사전 SNS 홍보물을 통해 신청받은 일반 시민이 채소를 기본으로 하는 ‘건강한 한 끼 만들기’ 조리 시연과 시식, ‘채수와 양념 감각 익히기’, ‘채소 화병 만들기’ 체험 등에 참여했다. 행사장 안팎에는 식품구성자전거를 모티브로 하는 다양한 홍보 콘텐츠가 전시됐으며, 참여한 대상자와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관련 홍보물(식품구성자전거 모양의 신발 장식 지비츠, 열쇠고리, 그립톡 등)을 제공했다. 대형 풍선 형태로 제작된 식품구성자전거 앞에서 많은 시민들이 사진 촬영을 하기도 했다. 또한 원데이 클래스에 신청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홍보 채널을 통해 알고 방문한 시민들은 하루의 식생활에 대해 돌아보는 활동지를 작성하고, 자신의 식품구성자전거 현재 모습을 그려보고, 미래에 도달하고 싶은 식품구성자전거를 그려보기도 했다. 행사장에서 상시 운영됐던 ‘음식명상’ 프로그램에서는 참여 시민들이 영상의 가이드에 따라 ‘건포도 명상’을 진행해 보기도 했다. 오프라인 행사 외에 학회에서는 2022년 개발된 관련 교육 자료의 확산을 위해 온라인 행사도 진행 중이다. 9월 18일부터 10월 6일까지 전국의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지역아동센터 등의 영양사, 영양교사 및 담당교사가 현장에서 이벤트 수행 후 이를 온라인 채널을 통해 인증하면 추첨을 통해 홍보물을 선물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이벤트는 제페토(메타버스) 내 ‘영양사와 함께하는 식생활 상담소 월드’에 접속해 단체로 식품구성자전거 앞에서 인증하거나 건강한 식생활 영상 퀴즈를 풀고 인증하는 방식이다. 연령이 더 어린 유·아동의 경우 ‘나만의 식품구성자전거 색칠하기’ 도면을 한국영양학회 사이트에서 다운 받아 색칠해 인증할 수도 있다. *참여 안내 : https://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idx=150&BoardID=Kdr 보건복지부와 한국영양학회는 앞으로도 영양소 섭취기준 제·개정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 홍보 자료를 주기적으로 제작해 현장의 전문 영양 인력과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 교육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영양학회 소개 한국영양학회의 설립 목적은 1)국내 영양학의 발전, 2)국민 영양 증진 기여, 3)세계 영양학 발전에의 기여이며, 사업으로는 1)국내 및 국제 영양학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영양 관련 연구 발표, 학술행사 개최, 학회지 및 국내외 학술문헌의 교환 사업, 2)식생활 개선 및 국민 영양 향상에 관한 사업: 한국인 영양권장량, 한국인 영양 섭취기준 제/개정 사업, 3)영양에 관한 교육과 지식의 보급 및 지도 계몽 사업: 영양평가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식품·음식 DB 구축 및 정비, 4)학술활동의 진흥 및 보조 사업, 5)국제학술교류사업, 6)기타 이 학회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이 있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KDRIs)-자료실: https://www.kns.or.kr/kdris/ 메타버스 - 영양사와 함께 하는 식생활 상담소 월드: https://bit.ly/메타버스_식생활상담소 KDRIs 온라인 콘텐츠 - 나만의 식품구성자전거 색칠하기 (어린이이벤트): https://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mode=mod&restring=%252FFileRoom%252FFileRoom%252Easp%253Fxsearch%253D0%253D%253Dxrow%253D10%253D%253DBoardID%253DKdr%253D%253Dpage%253D1&idx=150&page=1&BoardID=Kdr&xsearch=1&cn_search= KDRIs 온라인 콘텐츠 - 건강한 식생활 영상 퀴즈 (초/중/고 학교- 이벤트): https://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mode=mod&restring=%252FFileRoom%252FFileRoom%252Easp%253Fxsearch%253D0%253D%253Dxrow%253D10%253D%253DBoardID%253DKdr%253D%253Dpage%253D1&idx=151&page=1&BoardID=Kdr&xsearch=1&cn_search= 웹사이트: http://www.kns.or.kr/

    종합 더보기

    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 사업 수주

      dSPACE 코리아, KATRI ‘자율주행 실험도시 K-City’  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 사업 수주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dSPACE 코리아는 한국교통안전공단 부설기관인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의 ‘자율주행 실험도시(이하 K-City) 시뮬레이션 툴체인 장비 기반 환경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26일 밝혔다. KATRI에 따르면 K-City에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실제와 동일한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기반 환경 구축 후 국내 자율주행차 관련 기업, 학계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레벨4 이상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툴체인은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검증하는 제어 장비를 포함해 실제 주행 데이터 취득 후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장비, 레이더·라이다·카메라·초음파 등 자율주행 인지 센서 기능을 개발하는 장비, 그리고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 및 운전자 승차감을 시험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K-City 고도화 3단계 사업’의 일환으로, 이를 위해 dSPACE 코리아는 △가상 환경 시뮬레이션 장비 △통합 제어 장비 △데이터 로깅 장비 △전방 레이더 센서 시뮬레이터 장비 △실시간 범용 제어기 장비 등 최첨단 장비를 납품할 예정이다. 손태영 dSPACE 코리아 대표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물리적 제약이 많은 기존의 실도로 테스트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조건과 환경에서 반복 시험 및 검증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환경이 필요하다”며 “dSPACE는 시뮬레이션 및 가상화 분야 선도기업으로, 완성도 높은 K-City 시뮬레이션 툴체인을 구축해 국내 자율주행 기술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dSPACE 코리아 소개 dSPACE는 자율주행차, 전기차, 커넥티드 카 개발에 필요한 시뮬레이션 및 검증 솔루션을 제공하는 독일 기업이다. dSPACE의 포트폴리오는 시뮬레이션 및 검증을 위한 엔드 투 엔드 솔루션부터 엔지니어링과 컨설팅 서비스를 비롯해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주요 고객사는 자동차 OEM 및 부품 업체로, dSPACE의 솔루션을 사용해 차량용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테스트한다. dSPACE는 자동차 산업군 외에도 항공 우주, 산업 자동화 등 여러 분야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dSPACE는 전 세계 8개국에 약 24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독일 파더본에 본사를 두고 있다. 독일 현지에 3개의 프로젝트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중국, 크로아티아, 인도, 그리고 한국에 dSPACE 지사를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dspace.kr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일본자치체국제화협회, ‘제14회 한·일 공동세미나’ 개최

      한·일 인구감소사회,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일본자치체국제화협회, ‘제14회 한·일 공동세미나’ 개최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인구 감소 및 지역경제 침체에 직면한 지방중소도시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과 일본의 각계 전문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원장 김일재)은 26일(화) 오후 1시 30분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일본자치체국제화협회(CLAIR, 이사장 오카모토 다모쓰)와 공동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제14회 한·일 공동세미나’[1]를 개최한다. 이날 세미나에는 한국과 일본의 학계 전문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이 패널로 참석한다. 인구감소는 한국과 일본이 함께 겪고 있는 문제며,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하는 것이 양국의 공통적인 목표라는 점에서 이번 세미나는 양국 전문가들이 참석해 지역 활성화를 위해 함께 고민하고 발전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미나는 김일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고이케 기요시(小池潔) 일본자치체국제화협회 이사가 환영사, 구만섭 행정안전부 차관보와 아이보시 고이치(相星孝一) 주대한민국 일본국특명전권대사가 축사를 하며,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의 기조연설이 이어진다. 먼저 육동한 춘천시 시장이 ‘지방소멸시대 인구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주도적 대응기반 마련에 대하여’를 주제로 연설을 시작하고, 이어 이케다 다카히사(池田宜永) 일본 미야코노조시 시장이 ‘결과를 이끌어내는 지자체 경영 - 고향 납세는 지방 창생의 중요한 시책’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주제발표 세션은 유민봉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사무총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하며, 한국과 일본의 전문가 각 1명이 발표한다. 네기시 히로타카(根岸裕孝) 미야자키대학 지역자원창성학부 교수가 ‘미치노에키와 지방 창생 - 진화하는 미치노에키, 그 역할과 가능성’, 고경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의정연구센터장이 ‘마을연금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이어 발표 내용에 대해 양국 공무원, 학자 등 관련 전문가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한국과 일본의 지역 활성화 대책 마련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김일재 원장은 “지역은 급격한 인구감소와 지속적인 수도권 쏠림 현상 등으로 활력을 잃고 있으며, 이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해결해야 할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하면서 “이번 세미나가 양국 전문가들의 고견을 통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논의해야 할 지역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공통의 고민과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의미 있는 담론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1] 한·일 공동세미나 : 한국지방행정연구원과 일본자치체국제화협회가 주최하는 정례행사로, 한국과 일본 양국이 당면한 과제에 대해 양국 전문가(관-연-학)가 공동으로 연구하고. 실천적 대안을 모색해 공동 발전을 도모하는 학술세미나. 2010년 9월 17일 1회를 시작으로 총13회 개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소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1984년 설립된 정책연구기관으로 지방자치 관련 국정 과제 개발과 정책·제도 입안을 주도하며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비전 제시 및 자문, 경영 진단 및 컨설팅 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연구 기관이다. 연구원은 지방자치를 선도하는 중추적 기관으로서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지방자치행정의 발전에 이바지했으며, 자치 분권과 균형 발전 관련 학문적 기반을 구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rila.re.kr 사진

    사단법인 코드 ‘디지털혁신과 사회혁신이 소통하는 법’ 콘퍼런스 성료

      사단법인 코드 ‘디지털혁신과 사회혁신이 소통하는 법’ 콘퍼런스 성료 (국내매일) 안오명 기자 = 열린 사회와 디지털 혁신을 만들어가는 사단법인 코드(C.O.D.E)가 ‘커먼즈펍X성수 - 디지털혁신과 사회혁신이 소통하는 법’ 콘퍼런스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서울 성동구 문화산업 축제 ‘크리에이티브X성수’의 구성 중 하나다. 지속가능한 도시를 테마로 사단법인 코드 외에 루트임팩트, 임팩트얼라이언스, 앤스페이스, 컨트리뷰터스 등 다양한 단체가 참여했다.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시 및 팝업을 기획하기도 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기후환경 등을 주제로 포럼과 토크를 진행했다. 1부는 ‘사회적 이슈를 나르는 새로운 시도들’을 주제로 권혜진 데이터저널리즘코리아 대표가 사회를 맡고, 오원석 LiST 대표, 박혜민 뉴웨이즈 대표, 김병수 미션잇 대표가 패널로 나섰다. 디지털 시대에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고민하는 관점과 자세에 대해 박혜민 대표는 정치생태계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젊은 정치인의 등장을 지원하는 뉴웨이즈의 활동을 소개하며, 변화의 핵심으로 공급자 관점이 아니라 소비자인 유권자 입장에서 효능을 체감할 수 있도록 소통하는 새로운 감각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김병수 대표는 장애인 접근성과 포용성을 주제로 발간하는 콘텐츠 MSV를 소개하며, 우리가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을 할 때 단지 쓸 수 있도록 허가해주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삶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일이라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오원석 대표는 시민들이 새로운 도구와 창의적인 협업을 통해 직접 정부시스템을 개선하는 시빅해킹 사례로 코로나 시기의 공적마스크 지도, 전국공보지도 등을 소개하면서 누구나 작은 참여를 통해 변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이야기했다. 2부에서는 최신 기술이 유용한 제품과 서비스로 구현될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인 최형욱 라이프스퀘어 대표와 류형규 컬리 CTO가 사회자로 나섰다. 김도진 해피문데이 대표, 윤지현 소리를보는통로 대표가 패널로 참여해 ‘세상의 균형을 맞추는 도전과 고민’을 주제로 한 논의를 이어갔다. 불편과 불안을 당연하게 생각했던 월경을 건강하고 수월하게 관리해 여성의 삶에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바꿔 나가는 해피문데이와 청각장애인들이 어디서나 문자통역을 더 쉽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을 통한 자막서비스를 만드는 소리를보는통로의 사례와 고민을 듣고, 이러한 도전들에 더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윤종수 사단법인 코드 이사장은 “기술은 잘 활용하는 사람에게는 무기가 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빈곤, 소외를 낳고 기회 박탈을 초래한다. 오늘 이 자리는 이 가운데서도 한 사람 한 사람의 노력이 꿈을 꾸고 있다는 희망의 증거”라며 “앞으로도 사단법인 코드가 지향하는 개방성, 다양성, 참여를 바탕으로 커먼즈 생태계를 지키고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사단법인 코드 소개 사단법인 코드(C.O.D.E.)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CC Korea)의 새로운 이름이다. 개방(Openness), 다양성(Diversity), 참여(Engagement)의 힘으로 커먼즈(Commons)를 실현해 열린 사회와 디지털 혁신을 만들어가는 커뮤니티다. 웹사이트: http://codekorea.cc

    스포츠종합

    의회

    교육청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