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럼피스킨 발생에 따른 방역조치 |
9 |
발생현황[국내 최초 발생(‘23.10.19 신고, ’23.10.20 확진)] * 한우 76호, 젖소 22호, 육우 3호
❍발생건수 : 101건(경북 1, 충남 40, 경기 26, 인천 9, 강원 6, 전북 12, 충북 4, 전남 2, 경남 1)
【소 사육현황】 경북 한육우(18,984호 826천두), 젖소(615호 31천두) 전국 소 1위(20.7% 차지)
전국 한육우(89,227호 3,749천두), 젖소(5,713호 383천두)* 통계청(2/4분기 기준)
추진사항 ※ 관심 ⇒ 심각단계 상향('23.10.20.14시)
❍(발생농가) 김천 한우농가 확진(11.14)‣ 양성축 살처분(1두) 완료 - 동거축 정밀검사 결과 27두 중 12두 확진(11.16)‣ 양성축 살처분 및 소독 - 방역대(10km 내)이동제한·전화예찰(365호), 긴급예찰(역학 82호) ❍(의심축신고) 영천 젖소농가(49두 사육), 피부결절(2두) 신고(11.16) - 초동방역팀 투입, 이동제한 및 출입통제, 검역본부 시료 송부 |
❍(상황실 운영)방역대책본부 설치 운영(‘23.10.20~), 24시간 비상체계 유지
- (11.14~) 도내 발생으로“럼피스킨 위기대응 재난안전대책본부” 구성·운영
❍(일시이동중지)소 농가, 축산차량, 축산시설 대상 8차 시행(10.20~11.15)
* (1차)~(7차) 10.20일~10.30일(전국, 인천·경기·충남, 충북, 강원, 전북, 전남, 경남), (8차)11.14일~11.15(경북, 24시간)
❍(백신공급)전국 백신접종 명령 이후 백신 수령 물량(851,850두분)*
* (1차)831,950두분 배부(11.1 05:30), (2차) 16,900두분 배부(11.6 15:00), (3차) 3,000두분 배부(11.9 10:00)
❍ (백신접종)접종대상 829,276두*→819,783두**접종 완료(100%, 11,9일 20시 기준)
- “50두 미만 농가 접종 지원반*”운영(11.1~)* 22개시군, 189개반 559명
❍ (가축시장) 14개 가축시장 폐쇄(10.20~)
❍ (소독강화)거점소독시설(21시군 25개소) 운영, 공동방제단 및 시군 가용 소독차량 130대 동원 → 소 농가(누계 54,138호)및 도축장(7개소)등 소독
❍(흡혈곤충 방제) 소 농가 인근 모기 등 흡혈곤충 방제 : 22개 시군 21,351호(누계)
❍(예산 확보) 특별교부세 970백만원 시군 교부(소독, 방역활동비)
❍(소 이동제한)전국 소 사육농가 생축 반출입금지(11.13~11.26)
❍(도축장 지정) 방역대내 출하 도축장 지정(3개소) * 구미·영주도축장, 고령축산물공판장
향후계획
❍재난안전관리기금으로 소 농가 흡혈곤충 방제약 지원